본문 바로가기
국가예방접종

[백신]자궁경부암(HPV)|가다실9(대상자, 접종 간격, 부작용)

by 포인쏙 2022. 11. 9.
728x90
반응형

여성분이라면 한 번쯤 관심을 가져봤을 텐데요... 자궁경부암 백신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으로는 서바릭스(2가 백신), 가다실(4가 백신), 가다실 9(9가 백신) 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들이 외국 기업의 백신이라 조금 비쌉니다...  국내 개발을 해서 단가를 낮추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잘 되지 않았던 거 같습니다...  슬픔 ㅠㅠ 단가는 병원마다 다르지만 (18-23만 원 정도입니다. 3회 접종이기 때문에 60만 원 정도 들어갑니다. )

그래도 어쩌겠습니까!   여성들에게 꼭 필요한 백신이니 맞으시기를 강추드립니다. 


1. 자궁경부암(HPV) 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의 일종으로 2021년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전체 암 발새의 1.3% 10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연령별로 50대 24.4% > 40대 23.8% > 30대 15.7% 순)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의 종류는 대략 150여 종이며, 이 중 약 40여 종이 항문과 생식기 감염에 관련이 있습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는 매우 흔하며,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10명 중 1-2명, 성인 남성 10명 중 1명 정도가 감염되어 있습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이 반드시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감염의 70~80 % 는 1~2년 이내에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소멸되며  3-10%는 지속적인 감염을 일으킵니다.  성 접촉, 피부와 피부의 접촉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성생활을 시작하면 대부분 평생 한 번 이상 감염될 수 있습니다.)

 

HPV-16형의 구조(출처: wikipedia)


2. 자궁경부암(HPV)  예방백신이란?

 

 100여종이 넘는 HPV의 종류 중 자궁경부암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고위험군인 HPV 16형과 18형을 포함한 일부 유형을 예방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모든 자궁경부암이 아닌 백신에 포함된 유형과 관련한 자궁경부암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자궁경부암의 약 70-90 %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HPV 백신을 맞았다 할지라도 나머지 10-30 % 의 자궁경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사는 꼭 받아야 합니다.


3. 가다실 9 접종 대상

(여성)만 9-45세 :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및 생식기 사마귀 등의 예방 (HPV 16,18,31,33,45,52,58형 관련)

(남성)만 9-26세 : 항문암 및 생식기 사마귀 등을 예방(HPV 6, 11형 관련)


4. 접종 일정

(2회 접종)만 9-14세: 0, 6-12개월

(3회 접종) 만 15-26세: 최소 0, 2, 6개월 (★1년 이내에 3회 접종을 모두 마친경우에 유효성이 입증)

 

5. HPV 감염 후 치료 효과는?

치료를 대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가다실 9는 HPV 6, 11, 16, 18, 31, 33, 45, 52, 58형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으로 진행 중인 외부 생식기 병변,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질암, 항문암 등의 치료를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 


6. 국가무료접종

2021년 8월 19일 문재인 정부는 자궁경부암 무료 접종대상을 만 12세 이하 청소년 ->만 17세 이하로 확대하였습니다.!!

추가로 만 18세-26세 저소득층 여성도 해당됩니다.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및 차상위계층(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참고) 질병관리청, 국립암정보센터, 미국 질병관리본부

댓글